본문 바로가기

파이프라인

[전산회계 1급 노하우_3]시험 당일 도움되는 팁6

1. 원서접수 일찍 하세요.

응시 장소가 많지 않습니다.

응시를 일찍 해야 원하는 장소에서 볼 수 있습니다.

서울에도 몇 군데 없고 특히 지방은 근처 도시의 대학교일 확률이 높습니다.

게다가 보통 학원에서 단체 응시로 좌석을 확보하기 때문에 더욱 일찍 해야 합니다.

 

저는 접수 마지막 날 신청했더니 자동 배정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버스로 20분이면 갈 수 있는 시험장소 놓치고 지하철 1시간 거리의 고등학교에서 봐야 했습니다.

시험일정은 링크로 (http://license.kacpta.or.kr/)

 

 

2. USB에 이름 쓰기

시험 시작 전에 USB를 나눠줍니다.
USB
받자마자 이름이랑 수험번호, 시험유형(AB)쓰세요!

무슨 USB? 시험문제데이터가 들어있고 답안도 USB에 저장해 제출합니다.

 

시험장에선 USB받고 컴퓨터에 연결해서 실행하는 법을 가르쳐줍니다.

하지만 이미 컴퓨터에 USB 꽂은 후에는 시험에 집중하기 바쁘고, 혹시 다시 뽑았다가 오류라도 생길까 봐 걱정됩니다. 그러니까 설치 전에 USB에 꼭 미리 작성하세요.

 

추가) USB가 엄청나게 빡빡합니다. 이렇게 안 꽂히는 USB는 처음 봤습니다.
제 교실에 몇몇 분들도 안꽂혀서 감독관이 직접 꽂아주기도 했어요.
USB
연결부위 잘 맞추셨으면 힘으로 밀어 넣는 게 맞습니다.

 

3. 시험유형 A B형인지 잘 보세요.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A B형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한국세무사회에서 공개하는 기출 시험지는 모두 A형입니다.

습관적으로 프로그램에도 A형 입력하고 연습하게 되죠.

당연한 말이지만 습관이 참 무섭습니다.

본인 시험지가 B형이면 반드시 의식하고 계셔야 합니다.

 

4. 수험표 3장 다 뽑으세요. 그리고 연습장으로 씁니다.
수험표는 총 3매로 출력됩니다.

1장은 수험표고 2장은 시험시 안내사항(인쇄한 김에 필독!), 나머지는 그냥 빈 페이지에요.

스탬플러로 콕 집어 들고가세요.

낱장으로 들고가면 감독관이 빈종이 집어넣으라고 할 수 있어요.

이유는 분개연습장으로 쓰기 위함이에요.

실제 시험지가 A4사이즈에 양면 인쇄, 글자도 작고 문단 간격이 좁습니다.

뭘 적을 공간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특히 교재로 모의고사 연습하셨던 분은 실제 시험지의 빽빽함에 당황할 수도 있어요.

그래서 합법적으로 주어진 조건을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

 

5. 펜촉이 얇은 빨간 펜 챙겨가세요.
문제는 빨간 펜으로 푸세요.

분개할 때 문제에 핵심 단어 동그라미치면서 해야 합니다.

한 단어로도 계정과목 바뀌잖아요.

눈에 띄게 표시하려면 빨간색이 최고입니다.

 

다가 검산할 때 핵심 단어가 빨리 눈에 들어와야 시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0.35mm0.5mm를 추천합니다. 파랑도 잘 안보였어요.

 

검정 펜도 필요합니다. 왜냐면 시험지와 USB에 인적사항 써야 하니까요.

 

6. 단축키 익숙해지기
연습할 때 손에 익혀둬야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습니다.

 

창 바꾸기 Alt+Tap
회계프로그램 기본창 하나, 답장 입력창 하나, 전표창 하나 띄어놓고 단축키 눌러서 빨리 창전환 하세요. 일일이 클릭하는거 시간 낭비에요.
1
초라도 아껴야 해요 시험시간 정말 짧게 느껴지거든요.
 

  • 찾기 Ctrl+ F
    계정과목 찾을 때나 결산할 때 좋습니다.

 

  • 숫자키 옆 +버튼
    000
    +버튼 하나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2,000
    2 0 0 0 이 아닌 2 + 로 완성할 수 있죠.
    20,000
    입력: 20+
    200,000,000
    입력: 200++

<다음 포스팅>

계산기 잘고르는 꿀팁 공개!

전산회계 계산기 자격증 시험용 계산기 구매 꿀팁 7

 

전산회계 계산기 자격증 시험용 계산기 구매 꿀팁 7

오프닝 더보기 나는 경영학과 출신에 회계 관련 자격증 6개를 갖고 있다. 1학년 필수과목인 회계원리에서 계산기가 필요했고, 회계 자격증은 대부분 계산기가 필요한 시험이다. 그리고 취업 후 상사의 영수증 정리..

taedarin.tistory.com

 

 

 

반응형